MS워드나 Windows Live Writer 처럼 API설정을 해서 한글 2010으로 글을 작성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에 포스팅 하는 방법입니다.

2015. 11. 8. 01:36🌠IT관련

저는 네이버 블로그에서 포스팅 작성시 Ctrl+C(복사)나 Ctrl+V(붙이기) 효과나 영향에 대해서 고민을 참 많이 했습니다.

지금 블로그를 작성하는 이 순간 복사(Ctr+Cl) + 붙이기(Ctrl+V) 기능이 네이버 블로그 지수에 부정적이다라는 확신은 갖고 있지 못합니다.

이 문제로 수 많은 고수님(Ctrl+C)들의 의견을 살펴보아도 의견은 분분하더군요.

많은 다수의 고수분들은 복사 + 붙이기는 아래아 한글2010이나 메모장, 스프링노트, Ms워드,Windows Live writer 등 자기가 작성한 글이라 하더라도 절대 금지라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저 같이 머리가 단순한 사람은..,

글을 쓰다보면 어휘상 앞 뒤로 문장의 위치가 바뀌고 했을때 복사 또는 자르기해서 원하는 위치에 붙이기 를 숱하게 하는데..,

이렇게 하는 것이 뭐가 나쁜지..?

남의 글을 복사해서 갖다 붙일때 복사+붙이기한 문서가 다른 문서와 글의 내용의 유사성을 보고 유사문서라 판단하여야 하지만, 블로그 포스팅 내용의 글이 유사성이 전혀 없는 독창적인 글도 Ctrl + C(복사), Ctrl + V(붙이기)를 이용하여 글의 배치나 사진의 위치를 바꾸는 것도 저품질의 원인이 될 수 있다함은 이는 네이버 검색로봇 리브라 로직의 히스테리 때문에..,

택시나 자가용 타고 갈 길을 뚜벅이나 또는 소달구지나 타고 목적지에 가는 꼴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저는 초보 블로그이고 블로그 여러 고수분들 왈 복사+붙이기는 저품질의 한 원인이 된다고 하니 아리송1입니다.

그래서 저는 가끔 MS워드를 이용하여 네이버 블로그 글쓰기 API 설정을 이용하여 블로그를 포스팅을 합니다.

MS워드에서는 표 작성이나 그래프 삽입등의 기능이 매우 좋더군요.

그러나 저는 문서 작성을 잘하는 사람도 아니고 네이버 블로그에서 글을 쓰는 에디터에서는 복사+ 붙이기는 저품질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는 바람에 이게 싫어서 단순히 MS워드에서 문서를 작성 네이버블로그에 글을 포스팅하곤 합니다.

MS워드에서조차 복사, 붙이기, 자르기 기능을 이용하여 네이버에 올린 글을 저품질블로그의 나락으로 떨어트린다는 것은 벼를 벨때 낫으로만 베고 콤바인 등의 편리한 농기구를 이용하는 것을 농민이 이용하는 것은 편법으로 농자지천하대장군 농민이 할 일이 아니란 것과 동일하다는 생각입니다.

웃기는 얘기입니다~~~

​지금 이 글도 예전에 네이버블로그에 있던 글을 티스토리블로그에 그대로 옮기는 글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 4개월째 기존의 네이버 블로그 글을 그대로 옮긴 글도 있고, 또 독창적인 글을 포스팅 하는 글도 있네요~

물론 최적화된 블로그는 아니지만 저품질블로그도 아니네요^^~

그렇지만 하도 3페이지 저품질 블로그(나쁜 블로그)가 무서워서...

어짾든 저는 MS워드로 문서를 복사 갖다붙이고 자르고해서 네이버블로그에 글을 포스팅했습니다.

문서 작성에는 편한게 있습니다만 썸네일사진(대표이미지) 지정을 하는게 불가능하고 또한 올린 사진의 사이즈 크기가 너무 크게 나오고 화소수가 떨어져 사진의 질적 이미지가 크게 떨어지더군요.

또한 GIF파일 등은 깨져서 JPG이미지로 바뀌어버리고...

네이버에서 검색해보면 MS word나 windows Live write로 네이버 블로그 포스팅 하는 방법은 나와 있으나 아래아 한글 2010으로 포스팅하는 방법은 별로 안나와 있더군요.

그래서 아래아 한글2010으로 글을 작성 네이버 블로그에 포스팅 하는 방법을 써보고자 합니다.

네이버 블로그 설정 페이지로 이동한 뒤 관리 > 플러그인 연동관리 > 글쓰기 API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글쓰기 API설정을 클릭합니다.

MS워드(한글2010)와 연결설정을 하기 위해 화살표로 표시된 API연결 URL / 아이디 / API연결 암호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API연결정보에 API 연결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줘야 합니다.

[도구-블로그-블로그 계정 관리]를 누릅니다.

[블로그 계정 관리]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계정을 추가하기 위해 [계정 등록하기] 단추를 누릅니다.

[계정 등록하기]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블로그 정보-API 주소]에 등록할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한/글 2010은 MetaWeblog API를 제공합니다.

예) 티스토리 API 주소 확인 : [티스토리 홈 페이지-관리자-환경설정-BlogAPI설정-BlogAPI 주소]

[계정 정보]에서 [사용자 ID]와 [사용자 암호]를 입력한 다음 [설정] 단추를 누릅니다.

[계정 관리하기-계정 목록]에 방금 등록한 계정이 생성됩니다.

2010한글 도구에서 블로그올리기를 눌러 블로그 계정관리에서 +?단추를 클릭합니다.

API설정은 MetaWeblog API

한/글 2010에서 [블로그로 올리기]를 기능을 사용하려면, MetaWeblog API를 지원하는 블로그를 이용해야 합니다.

MetaWeblog API는 블로그에 직접 접속하지 않아도 외부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블로그에 게시물을 올리기나 게시물 편집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RFC: MetaWeblog API(MWA)라고도 합니다.

이 외 블로그 API는 이후 추가적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참고로, 국내에서 MetaWeblog API를 지원하는 포털은 'NAVER', 'egloos', 'TISTORY'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자동 접속에 초이스 해 놓는 것이 유리합니다.

매번 그 긴 사용자암호를 외우는 것은 어렵고 복사해서 붙여넣기도 불편하니까요.

아래아 한글 2010에서는 API설정을 네이버로 선택해도 구동에 아무 이상이 없습니다.

MS워드에서는 MetaWeblog API를 반드시 선택해야 합니다.

하단의 연필 아이콘을 누르면 계정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계정삭제나 계정지정은 직접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마우스를 블로그로 올리기에 대면 위와같은 그림이 뜹니다.

여기에서 블로그에 직접 최종본을 직접 올리는 방법과 초안으로 올리는 방법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친숙한 프로그램으로 블로그 문서를 작성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게시물 제목에는 블로그 포스팅 제목글로 중요키워드 위주로 작성해야겠죠!

게시물 위치는 문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테고리입니다.

공개와 비공개 체크할 수 있겠습니다.

초안으로 올리기 기능은 한/글에서 작업한 문서를 웹 블로그에 초안으로 등록할 때 사용 하는 기능입니다.

초안으로 올리기를 선택하면 문서를 편집하여 등록할 때마다 동일한 글이 업데이트 됩니다.

초안으로 문서를 올릴 때는 [공개], [비공개] 여부를 [제목]과 함께 설정하여 올릴 수 있습니다.

완성되지 않은 문서를 편집 중 틈틈이 올리고 싶을 때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한글2010에서 네이버나 티스토리에 글을 포스팅함은 MS워드보다 쉬운 것 같습니다.

다만 업로된 사진이 MS워드에서는 사진의 픽셀이 원본보다 크게 올라가는 경향이 있으나 한글 2010에서는 도리어 사진의size 크기가 작은 사이즈로 올라가더군요.

물론 애초에 작은 사진은 크기가 변동이 있는지 체크를 하지는 못 했습니다.

GIF파일등은 깨져서 업로드 되는 것은 MS워드(ms word)와 동일합니다.

사진의 사이즈가 중요한 경우 텍스트만 올리고 사진은 네이버블로그 포토업로더를 이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역시 장점은 로컬컴퓨터에 저장 그때그때 문서작성을 할 수가 있고 수정이 가능합니다.

3페이지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저로서 얻은 결론은 Ctrl + C(복사하기)나 Ctrl + V(붙이기)등은 네이버블로그지수에 영향이 없고, 웬만큼의 수정도 크게 상관은 없고, 또한 3페이지 저품질블로그(나쁜블로그)에서 탈피하는 방법은 방문자가 체류시간을 늘려 페이지뷰를 늘리는 것이라 생각해서 전문가도 아닌 제가 ms워드나 한글2010으로 네이버에 글을 포스팅하는 방법에 대해 어렵게 작성해보았습니다.

 

 

역시 저에게는 대한민국 고급빌라 고급주택 타운하우스에 대한 포스팅이 훨씬 수월하네요^^ㅋ